티스토리 뷰
이직확인서 는 실업급여를 받을 때 필요한 중요한 문서입니다. 이 글에서는 '근로복지공단 이직확인서 '에 대한 정보와 작성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이직확인서의 중요성
이직확인서 는 근로자의 퇴사 사실을 확인하는 문서로, 실업급여를 신청하려면 반드시 필요합니다. 이직확인서 에는 이직사유, 피보험단위기간, 임금지급현황 등의 내용이 정확하게 기재돼야 합니다.
이직확인서 작성 방법
근로자가 이직확인서 를 요청할 때 사업주는 10일 이내에 발급해야 합니다. 이직확인서 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고용보험법 시행규칙에 따라 다음 내용을 기재해야 합니다.
- 1일 소정근로시간
- 1일 통상임금
- 보수지급기초일수
- 피보험 단위기간 통산 180일 기준보수지급 기초일수
- 초단시간 근로일수
피보험 단위기간은 보수를 지급받는 날로 계산되며,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. 이직확인서 작성 시 근로자의 이직일과 최종 근무일을 포함하여 피보험 단위기간을 정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.
이직확인서 처리 절차
이직확인서 는 이직자가 사업주에게 발급을 요청하고, 구직급여 수급자격을 신청하면서 고용센터에 제출해야 합니다. 사업주는 근로자가 이직한 경우 다음 달 15일까지 해당 근로자의 피보험자격상실신고서와 이직확인서 를 제출해야 합니다.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를 제출하거나,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이직확인서 발급을 요청받은 경우 요청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사업주가 이직확인서 를 발급해야 합니다.
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 방법
이직확인서 처리 여부는 고용보험 온라인 공식 홈페이지나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로그인 후 개인서비스의 조회 메뉴에서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FAQ
- 이직확인서 를 다운로드 받을 필요는 없으며, 사업주가 발급해야 합니다.
- 최종 퇴사일 기준으로 이전 18개월의 피보험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이면 이직확인서 가 신고되어야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이직확인서 는 근로자나 고용센터에서 이직확인서 제출을 요청할 경우 사업주가 발급해야 합니다.
- 이직확인서 사유를 정정하려면 회사 내 취업규칙 등의 규정을 확인하고 관할 근로복지공단 으로 문의해야 합니다.
- 이직확인서 처리가 안 된 경우 확인청구를 하거나 사업장 내부 규정을 확인하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.
문의처
-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: 1350 (유료)
- 홈페이지 전산 문의: 1577-7114 (유료)
- 고용. 산재보험 업무상담: 1588-0075
이직확인서 는 실업급여 신청 시 필요한 문서로, 이직자와 사업주 간 중요한 서류입니다. 이직확인서 의 작성 방법과 처리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고, 온라인으로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기재하여 불필요한 문제를 방지하고, 실업급여를 원활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.
앱